穆利根
运动范围
医学
颈部疼痛
物理医学与康复
物理疗法
强度(物理)
物理
光学
替代医学
病理
出处
期刊: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日期:2017-07-31
标识
DOI:10.21184/jkeia.2017.07.11.5.271
摘要
본 연구는 일자목이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멀리건 기법과 맥켄지 운동 중 목 통증과 관절가동범위에 어떤 운동이 더 효과적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일자목이 있는 성인 26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멀리건 집단과 맥켄지 집단으로 13명씩 무작위 배정되었다. 멀리건 집단은 목의 굽힘, 폄, 왼쪽 굽힘, 오른쪽 굽힘, 왼쪽 돌림, 오른쪽 돌림에 대한 지속인 자연스러운 척추 유동술을 수행하였고, 맥켄지 집단은 목의 6가지 움직임을 유지하는 운동을 수행하였다. 두 집단은 12주간, 주 3회, 회당 30분 동안 운동을 수행하였다. 결과측정은 통증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시각상사척도와 목 장애지수를 사용하였으며, 목의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기 위하여 목 관절가동범위측정기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멀리건 집단은 중재 전과 후로 통증강도, 목의 폄, 왼쪽 굽힘, 오른쪽 굽힘, 목 장애지수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맥켄지 집단은 중재 전과 후로 통증강도, 좌측 회전, 목 장애지수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두 집단 간 변화량 비교에서 멀리건 집단은 맥켄지 집단보다 목의 폄과 왼쪽 굽힘, 오른쪽 굽힘에서 유의하게 더 큰 향상을 보였다(p<.05). 본 연구의 결과는 일자목이 있는 성인에게 멀리건 기법이 맥켄지 운동보다 목의 관절가동범위 향상에 더 효과적인 중재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科研通智能强力驱动
Strongly Powered by AbleSci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