环己酰亚胺
氯霉素
对羟基苯甲酸酯
两性霉素B
酵母
微生物学
化学
抗生素
抗真菌
生物化学
生物
食品科学
蛋白质生物合成
防腐剂
作者
Homin Park,Jeongmin Cha,Seong-Eun Park,Hong-Seok Son
标识
DOI:10.9721/kjfst.2022.54.5.546
摘要
본 연구에서는 항균제인 chloramphenicol과 항진균제인 cycloheximide, amphotericin B, methyl paraben을 각각 YM 배지와 MRS 배지에 첨가하였을 때 배지의 선택성을 확인하였다. Chloramphenicol은 0.01 g/L 이상의 농도에서 유산균의 생육을 억제하였고, cycloheximide는 0.5 g/L 이상의 농도에서 효모의 생육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반면 amphotericin B와 methyl paraben은 각각 0.125-0.5, 0.28 g/L의 농도에서는 효모의 생육을 거의 억제하지 못했다. MRS 배지에 지시약인 bromocresol green을 0.05 g/L 첨가했을 때 L. fermentum과 S. cerevisiae 콜로니를 육안상으로 구별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결론적으로 MRS 배지에서 유산균의 생균수 측정을 위해서는 항진균제로 0.5 g/L 이상의 농도의 cycloheximide를, YM 배지에서 효모의 생균수 측정을 위해서는 항균제로 0.01 g/L 이상의 농도의 chloramphenicol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 막걸리 시료에 chloramphenicol과 cycloheximide를 적용한 결과 효과적으로 배지의 선택성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김치와 막걸리와 같이 유산균과 효모가 같이 존재하는 식품을 MRS, YM 배지를 이용해 유산균이나 효모의 생균수만을 확인하고자 할 때 선택배지 제조에 있어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다양한 미생물이 상이하게 존재하는 여러 발효식품에서도 유효한지에 관해서는 추가적이 연구가 필요하다.
科研通智能强力驱动
Strongly Powered by AbleSci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