虚拟实境
趋同(经济学)
时尚产业
广告
艺术
计算机科学
业务
虚拟现实
人机交互
经济
地理
考古
服装
经济增长
出处
期刊:Han-gug gwahag yesul poreom
[Institute of Science Culture Exhibition and Design]
日期:2021-09-30
卷期号:39 (4): 161-178
被引量:13
标识
DOI:10.17548/ksaf.2021.09.30.161
摘要
본 연구는 오늘날 4차 산업혁명 기술의 발전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메타버스와 함께 나타나기 시작한 가상 패션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연구의 목적은 패션브랜드의 메타버스와의 융합을 통한 가상패션의 사례 고찰을 통하여 패션브랜드의 메타버스 활용 방법과 이를 통하여 개발된 가상패션 상품과 서비스의 특징을 분석하고, 가상 패션산업 현대패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 및 선행연구 그리고 국내외 매체 보도자료 등을 통하여 메타버스의 개념과 현황을 파악하고 사례분석 하였다.
사례분석 대상으로는 한국의 메타버스 서비스와의 융합을 통하여 가상 패션상품을 출시한 해외명품 패션브랜드 구찌(GUCCI)와 메타버스를 기반으로 한 가상 하이패션 스타트업 브랜드, 더 패브리컨트(The fabricant) 그리고 가상 패션 리테일링 브랜드, 칼링스(Carlings)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와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구찌는 AR 기반 증강현실과 라이프 로깅, 3D 가상세계가 융합된 국내 메타버스 서비스 제페토(ZEPETO)를 활용하여 Z세대를 주 고객으로 유치할 수 있는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 개발 방법을 제시하였다.
둘째, 가상 하이패션 스타트업 브랜드 더 패브린컨트는 가상으로만 존재하는 가상 패션상품을 개발함으로써 환경오염 문제 완화와 이에 따른 패션산업의 지속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편리한 구매 서비스를 통하여 일상생활 속에서의 가상 패션의 활성화를 꾀하였고, 실물 패션상품과 차별화되는 미적 특징의 가상 패션상품 개발을 통하여 가상 패션이라는 새로운 분야의 발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칼링스는 가상 패션에 가치를 부여하는 방법을 제시하였고, 앱을 통한 즉각적 가상 패션 구현이 가능한 AR 티셔츠 개발을 통하여 소비를 줄이고 환경보호 활동에 동참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패션산업에 있어 메타버스와의 융합을 통한 가상패션의 영역이 더욱 다양하게 확장되고 발전해나갈 수 있음을 기대해 볼 수 있다.
科研通智能强力驱动
Strongly Powered by AbleSci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