克朗巴赫阿尔法
心理健康
比例(比率)
心理健康素养
心理学
样品(材料)
读写能力
健康素养
临床心理学
心理测量学
精神科
教育学
精神疾病
医疗保健
政治学
地理
地图学
化学
法学
色谱法
出处
期刊:Mental Health & Social Work
日期:2019-06-30
卷期号:47 (2): 35-66
被引量:2
标识
DOI:10.24301/mhsw.2019.06.47.2.35
摘要
정신질환에 대한 조기개입과 정신건강서비스 이용을 촉진시키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정신건강정보이해능력 (Mental Health Literacy)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전세계적으로 정신건강정보이해능력의 모든 개념 (Jorm et al.,1997)을 포괄하는 양적측정도구가 개발되지 못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세계 최초로 정신건강정보이해능력의 모든 개념을 포함하여 개발된 정신건강정보이해능력 척도 (Mental Health Literacy Scale: O'Connor & Casey, 2015)를 번역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여 한국어판 정신건강정보이해능력 척도(MHLS-K)를 한국의 실정에 맞게 타당화 하는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었다. 전국 6개 대학에서 총 305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진행되었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정신장애인에 대한 태도", "도움추구 효능감", "각각 정신질환의 인지 능력", 그리고 "정신질환 및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지식"의 4요인, 18문항이 추출, 선정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4요인 구조를 확인하였으며 모델의 적합도 지수들이 상당히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고, 내적일관성 신뢰도 Cronbach's alpha도 .756으로 적절한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이론적으로 관련 있는 변인과의 상관관계를 통한 수렴타당도 평가와 집단비교법을 활용한 구성타당도 평가에서 매우 양호한 수준의 타당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검증되어 한국의 문화적 맥락과 실정 안에서도 실용 가능한 도구임이 입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실천적, 학문적 함의와 한계점이 제공되었다.
科研通智能强力驱动
Strongly Powered by AbleSci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