期刊:Han'gug chodeung cheyug haghoeji [The Korean Society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日期:2022-07-31卷期号:28 (2): 135-144
标识
DOI:10.26844/ksepe.2022.28.2.135
摘要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학생에게 적용할 수 있는 신체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2022년 현재 J도와 G시에 거주하고 있는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428명(남:219, 여: 209)을 대상으로 Collea 등 (2008)과 Maddux 등(1982)이 개발한 척도를 수정하여 적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내용분석 및 확 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요인의 적합도 분석에서 χ2값을 제외한 CMIN/df, RMR, GFI, AGFI, CFI, RMSEA 값이 양호한 수준을 보여 단일요인 척도가 확인되었다. 둘째, 세부분석에서 표준화 회귀계수(SRW)가 10개 문항 모두 .50 이상으로 나타났고, 개념신뢰도를 나타내는 AVE값과 CR값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뢰도를 나타내는 문항 간 내적 합치도는 .890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셋째, 성별, 운동참여유무집단 간 신체적 자기효능 감을 분석한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정기적 운동참여집단이 비참여집단보다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이 연구에서 타당화하고자 한 초등학생을 위한 신체적 자기효능감척도는 개인이 자신의 운동능 력(즉, 힘, 속도 및 조정, 불안, 피로, 운동방법)에 대한 인식을 평가하도록 설계된 단일요인 구조의 척도가 확인되 었으므로 일반화된 신체적 자기효능감척도로 적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