摘要
본 연구는 묘족 은장식에 대한 미적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형식미와 내용미로 나누어 탐구하였는 바, 먼저 관련 문헌을 고찰하였으며 은장식 작품 자료를 수집하여 내용분석을 통해 형식미를 유추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묘족 은장식에 내재된 내용미를 탐구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BR첫째, 묘족 은장식은 인체 부위를 중심으로 하여 머리 장식, 목/가슴 장식, 팔 장식, 의복 장식, 등 장신구, 허리띠 등 7가지 종류로 분류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BR둘째. 묘족 은장식의 형식미는 형태의 다양성, 구도의 대칭성, 표현의 과장성 등이 도출되었다. 형태의 다양성은 종류별로 보면, 기하형, 동식물형, 길상형, 생활도구형이며, 구성별로 보면 평면과 입체, 구상과 추상, 단일과 중첩 등으로 구분된다. 표현의 과장성은 이다위복, 이중위귀, 이대위미 등의 특성이 나타났다.BR셋째, 묘족 은장식의 내용미는 역사·이주문화의 체현, 자연의 체현, 종교 신앙의 체현, 부·계급·권리의 체현 등으로 정신적 문화적 내적의미들을 유추하였다.BR이상으로 본 연구는 도출된 형식미를 토대로 내용미를 탐구함으로서 묘족 은장식에 있어 체계적인 미적 특성을 도출하였다. 묘족 은장식은 단순한 장식물이 아니라 그 미학적 가치가 매우 높아 현대 장신구 디자인에 풍부한 아이디어와 영감을 제공한다. 본연구 결과가 현대 장신구 디자인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