数学教育
课程
国家课程
语言学
心理学
社会学
计算机科学
教育学
哲学
作者
Dabin Jung,Eunsook Jeong
出处
期刊:Korean Association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日期:2020-02-29
卷期号:20 (4): 651-675
标识
DOI:10.22251/jlcci.2020.20.4.651
摘要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세계 문화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라는 초등 영어 교육의 목표를 고려, 초등 3, 4학년 영어 교과서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고찰, 분석 범위 및 기준 마련 등의 절차를 통해, 총 10권의 초등 영어 교과서(3학년 5권, 4학년 5권)를 1) 문화 유형, 2) 문화 배경, 3) 문화 교수·학습 활동 및 절차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문화 유형과 관련하여 행동 문화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 물질 문화, 정신 문화 순으로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 문화 배경과 관련하여서는 비영어권 문화가 가장 빈번하게 제시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영어권 문화, 한국 문화가 제시되어 있었다. 또한 하나의 단일 문화를 제시하는 경우보다는 2개 이상의 문화 배경을 함께 제시한 경우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셋째, 문화 교수·학습 활동 측면에서는 교사의 제시나 설명과 함께 학생의 핵심 의사소통 표현 및 기능 연습이 주를 이루었다. 반면, 학생들이 문화에 대해 스스로 탐색하고 경험할 수 있는 활동들은 거의 제시되어 있지 않았다. 또한 지도 절차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Moran의 경험 학습 중심 지도 절차와 비교했을 때, Knowing About 단계는 잘 드러나 있으나, 그 외 Knowing How, Knowing Why, Knowing Oneself 단계는 지도 절차에 거의 반영되어 있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 영어 문화 교육에 대한 제언이 이루어졌다.
科研通智能强力驱动
Strongly Powered by AbleSci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