摘要
정보 편중으로 인한 불평등 현상은 공유성·이전성·복제성과 같이 평준화에 기여함직한 정보의 기본 속성에 반하는 잠재적 역기능의 하나로 꼽혀 학술적·정책적으로 주시되어 왔다. ‘정보격차’로 불려온 정보화 시대의 불평등은 하드웨어 차원인 기기(tool), 소프트웨어 차원인 자료(data), 휴먼웨어 차원인 사용자(user)에 따라 기회격차, 활용격차 및 수용격차라는 세 유형으로 구분된다. 그런데 기계 지능이 인간지능을 넘보는 AI 시대에 들어서면서 정보격차는 새로운 양상을 보이고 있다. 디지털화가 새로운 도약단계로 들어서는 AI 시대의 디지털 격차를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휴먼웨어 차원에서 되짚어보면, 그것은 운영격차·선별격차·증강격차라는 세 갈레로 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정보격차로 불려온 AI 이전 시대의 디지털 격차1.0과 AI 시대의 디지털 격차2.0은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도 상이한 면모를 보인다. 생활공간의 공유를 전제로 하는 전자의 경우 소유-비소유 관계가 문제의 핵심을 이루는 반면, 후자에 있어서는 생활공간에서의 실존성과 직결된 존재-부존재라는 쟁점이 중요시 된다. 따라서 디지털 격차1.0에서는 사회적 형평성에 어긋나는 정보수혜층과 정보소외층 간의 간극을 축소하기 위한 복지적 접근이 적실한 해법으로 상정되나, 디지털 격차2.0의 경우에는 생활 현장에서의 실존감을 유실한 심정적 퇴출자들의 인간성 회복이 보다 절실한 과제로 대두한다. 그 결과, 기술사회적 논의수준에 머물던 기존 정보격차론은 AI 시대를 맞아 기술담론·사회담론·인간담론을 망라한 수준으로 확장될 전망인데, 이 때 실용지나 암묵지의 소재 여부와 직결된 ‘신(新)지역격차’가 새로운 지적 관심사나 정책적 의제로 소환될 개연성이 높다.Social inequality due to the unequal distribution of information has drawn a great attention in academia and public policy sphere as it is considered one of the latent dysfunctions that go against the basic attributes of information seemingly contributing to social equalization, through the sharing, transferring or reproducing information. Digital divide which has been called the ‘information inequality’ throughout the information age,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opportunity divide, utilization divide and reception divide in terms of hardware(tool), software(data) and humanware(user), respectively. However, in the AI era, where machine intelligence apt to exceed human intelligence, the digital divide is shifting to a totally new stage. Looking at the digital divide in the AI era in light of the three aspect of hardware, software and humanware, it can be categorized into operational divide, curation divide and augmentation divide. The digital divide of the pre-AI era, which has been called the digital divide1.0 and the digital divided2.0 of the AI era reveal different characteristics as follows. While the ownership/non-ownership relationship is at the core of the problematic for the former which is under the premise of sharing living space, the matter of inclusion/exclusion directly related to the problem of existence in living space is most important for the latter. Thus, in the case of the digital divide of 1.0, welfare approach aiming at reducing the gap between the information rich and the information poor turns out to be the most promising solution than anything else. In the case of digital divide 2.0, however, how to enhance the human dignity of the people who are losing their sense of existence in social life. Therefore, the existing digital divide theory, which remained at the level of socio-technical discussion should be expanded to the more comprehensive discussion that encompasses technological, scientific and humanistic discourses in coming era of AI. Then,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 “new regional disparity” centered on the locale of residence, which is linked to the exchanges of practical or tacit knowledge will be called upon as a new intellectual topic or policy agen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