苦参素
脂多糖
化学
药理学
生物化学
白藜芦醇
医学
内科学
作者
Han‐Jin Cho,Jae‐Hoon Shim,Hong‐Seob So,Jung-Han YoonPark
出处
期刊: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日期:2012-09-30
卷期号:41 (9): 1226-1234
被引量:8
标识
DOI:10.3746/jkfn.2012.41.9.1226
摘要
본 연구에서는 염증반응을 조절하는 다양한 신호전달체계를 중심으로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통해 piceatannol의 항염증 기전을 규명하였다. LPS로 염증반응을 유도한 Raw 264.7 대식세포에서 piceatannol은 iNOS의 발현 억제를 통해 NO의 생성을 감소시키고 염증성 사이토카인(TNF-α,
IL-6, IL-1β)의 생성을 감소시켰다. 염증반응을 조절하는 신호전달체계 중 piceatannol은 LPS에 의해 유도된 IκB의 분해와 p65의 핵으로의 이동을 억제하고, LPS에 의해 유도된 SAPK/JNK의 인산화를 억제하였다. 또한 piceatannol은 LPS와 IL-6(LPS에 의해 증가됨)에 의한 STAT3의 활성화를 억제하였다. 뿐만 아니라 piceatannol은 Nrf2의 핵 내 축적을 야기하고 ARE의 transcriptional activity를 증가시켜 HO-1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본 연구의 결과, piceatannol은 NF-κB와 AP-1, STAT3 신호전달의 억제를 통해, 그리고 HO-1의 발현 증가를 통해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었다(Fig. 8).
科研通智能强力驱动
Strongly Powered by AbleSci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