工作态度
工作分析
心理学
工作满意度
工作特征理论
结构方程建模
工作表现
社会心理学
清晰
计算机科学
机器学习
生物化学
化学
出处
期刊: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日期:2013-11-28
卷期号:13 (11): 198-212
被引量:1
标识
DOI:10.5392/jkca.2013.13.11.198
摘要
본 연구는 대학졸업예정자들의 구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들을 밝히고, 요인들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지방 국립대 4학년 재학생 231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델을 검증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20.0 프로그램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직효능감은 구직네트워크와 구직제약성의 구직의도에의 효과에 매개역할을 하고 있었으며, 구직명료성은 구직의도에의 직접 효과는 없었지만, 구직효능감을 통한 정(+)의 간접효과를 보여 주었다. 둘째, 구직태도와 구직효능감은 구직의도에 정(+)의 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구직 제약성은 구직태도에 부(-)의 영향을 주고 있으며, 구직네트워크와 구직제약성은 구직효능감에 유의한 정(+)적 효과를 나타내었다. 넷째, 구직네트워크와 구직효능감의 향상은 구직명료성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보여주었다. 다섯째,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대학졸업예정자들의 구직효능감 향상과 긍정적인 구직태도의 함양 및 구직관련 사회관계망의 확보가 요구됨을 확인할 수 있다. The objectives of the study are: 1) to explore the affecting factors on job search intention among expectant graduates from university and 2) to analyze their causal relationships. For the objective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run using: AMOS 18.0 program. The analysis included total of 231 senior students from three national universities located in non-central regions. The main results are follows as: first, job search network showed a significant and positive indirect effect on job search intention implying the mediating roles of job search attitudes and job search efficacy. Second, job search attitudes and job search efficacy had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s on job search intention. Third, job search constraints had a negative effect on job search attitudes, and job search network and job search constraint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job search efficacy. Fourth, higher job search network and higher job search efficacy increased the levels of job search clarity, respectively. These results implied that the improvement of job search efficacy, positive attitudes toward job search and the security of social network for job are meed for expectant graduates from university.
科研通智能强力驱动
Strongly Powered by AbleSci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