辍学(神经网络)
辍学学生
心理学
数学教育
社会学
计算机科学
社会经济学
机器学习
作者
Eun-sil Jung,Jae-hong Song
出处
期刊:교육과학연구(제주대학교)
[Research Institute of Education Science, Jeju National University]
日期:2021-09-30
卷期号:23 (3): 147-172
标识
DOI:10.15564/jeju.2021.09.23.3.147
摘要
이 연구는 개념도 연구법을 이용하여 학업중단 위기 고등학생이 지각한 학업중단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학업중단 위기 고등학생 8명을 대상으로 개념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위험요인 49문항, 보호요인 34문항이 도출되었다. 또한, 유사성 분류와 중요도 평정을 통해 다차원 척도 분석과 군집 분석을 실시한 결과 위험요인은 통제적 환경의 직접 영향-통제적 환경의 간접 영향과 사회문화적 영역-학교체제 영역과 같이 2개 차원, 5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보호요인은 또래관계 및 학교환경 영역-기성세대 및 사회환경 영역과 대인관계 영역-개인내적 영역과 같은 2개 차원, 4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연구결과, 학업중단 위기 고등학생이 지각한 학업중단 위험요인은 ‘교사와의 갈등’, ‘학업스트레스’, ‘친구관계 어려움’, ‘학교생활에 대한 거부감’, ‘사회생활 욕구’와 같이 명명되었다. 이중, ‘교사와의 갈등’이 가장 중요한 학업중단 위험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반면, 학업중단 보호요인은 ‘부모와 교사의 지지’, ‘진로와 미래에 대한 희망‘과 ’친구의 관심‘, ’학교생활에 대한 아쉬움‘과 같이 4개 군집으로 명명되었다. 각 군집별 중요도를 평정한 결과, ’부모와 교사의 지지‘가 가장 중요한 보호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업중단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에 대해 논의하였고 교육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과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科研通智能强力驱动
Strongly Powered by AbleSci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