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luence of Dietary δ-Aminolevulinic Acid Supplement on Growth Performance and Hematological Changes in Weaned Pigs
血红蛋白
内科学
化学
淋巴细胞
内分泌学
动物科学
医学
生物
作者
민병준,홍종욱,권오석,강대경,김인호
出处
期刊: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日期:2004-12-01卷期号:33 (10): 1606-1610被引量:15
标识
DOI:10.3746/jkfn.2004.33.10.1606
摘要
본 실험은 자돈식이내 δ-아미노레불린산의 첨가가 이유 자돈의 성장능력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사양시험은 3원 교잡종 자돈 75두(평균체중 7.21±0.02 ㎏)를 공시하였다. 시험설계는 1) NC(negative control; 무항생제 기초식이), 2) PC(positive control; NC diet+0.1% Apramycin+0.1% Oxytetracycline), 3) ALA0.1(NC diet+0.1% δ-아미노레불린산), 4) ALA0.2(NC diet+0.2% δ-아미노레불린산), 5) ALA+AB (PC diet+0.2% δ-아미노레불린산)의 5개 처리를 하였다. 총 사양시험기간동안, 일당증체량은 ALA+AB 처리구가 NC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으나(p<0.05), PC, ALA0.1 그리고 ALA0.2 처리구와는 통계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일당식이섭취량과 식이효율에 있어서는 처리구간의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시험 개시 후 20일령에 측정한 영양소 소화율에 있어서는 건물과 질소 소화율에 있어서 ALA+AB 처리구가 NC 처리구 및 ALA0.1 처리구와 비교하여 높게 평가되었다(p<0.05). 또한, 혈청내 total protein의 농도에 있어서는 ALA+AB처리구가 NC 처리구 및 PC 처리구와 비교하여 높게 평가되었다(p<0.05). 혈청내 iron의 농도는 δ-아미노레불린산을 첨가한 처리구가 NC 및 PC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p<0.05). 혈청내 TIBC에 있어서는 ALA+AB 처리구가 NC, PC 그리고 ALA0.1 처리구와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p<0.05). 혈액내 Hb 및 HCT의 농도는 ALA0.2 처리구와 ALA+AB 처리구가 NC 처리구와 PC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p<0.05). 혈액내 RBC와 WBC의 농도는 ALA0.2 처리구와 ALA+AB 처리구가 NC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p>0.05). 혈액내 lymphocyte는 δ-아미노레불린산 처리구가 NC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자돈식이내 δ-아미노레불린산의 첨가는 자돈의 성장 및 소화율을 향상시키며, 혈액 내 total protein, iron, hemoglobin, lymphocyte의 수준을 증가시켰다. 또한, δ-아미노레불린산과 항생제의 혼합급여는 자돈의 성장 능력에 있어 상승효과를 갖는 것으로 사료된다.